본문 바로가기


1분 상식

삼명일, 모집인원 0명, 심심한 사과, 하릴없이, 존망, 금일 뜻 의미

by 딱1분 2024. 5. 6.

요즘 MZ세대의 문해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초등학교 국어 교육 시간을 늘리는 등의 해결책을 모색하기도 했다는데요. 오늘은 삼명일, 모집인원 0명 등 몇 가지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게 과연 문해력 논란까지 나올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썸네일-삼명일

 

 

1. 삼명일

 

 

먼저 삼명일입니다. 사실 이 단어는 자주 쓰이는 단어는 아닌데요. 한자에 따라 2가지 의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三明日은 석삼과 날일 사이에 '밝을 명'자가 들어간 단어인데요. 이 경우의 의미는 '모레의 다음 날'입니다. 즉, 오늘을 기준으로 3일 후의 날이라는 거죠. 내일, 모레, 글피(삼명일) 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두 번째 三名日은 석삼과 날일 사이에 '이름 명'자가 들어간 단어인데요. 이 경우의 의미는 '3가지의 명절'이 됩니다. 조선시대에 사용하던 단어로, 임금의 탄신일, 정월 초하루, 동지(冬至)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하네요.

 

이슈가 됐던 단어는 첫 번째 삼명일인데요. 사실 요즘 누가 3일 후를 삼명일이라고 할까요. 글피도 잘 쓰지 않는 단어인데 말이죠. 이와 관련하여 방송인 김구라 씨가 비판한 내용도 있으니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세요.

 

※ 관련 기사

 

'삼명일' 뜻?…김구라, MZ세대 문해력 논란에 일침 - 이수현 - 톱스타뉴스

방송인 김구라가 문해력 논란에 일침을 가했다.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

www.topstarnews.net

 

 

2. 모집인원 0명

 

 

다음은 모집인원 0명입니다. 사실 이것은 저 같은 경우에도 처음 접했을 때 약간 헷갈렸던 부분인데요. 최근 인기 유튜브 채널 '너덜트'에서 올린 채용공고 문구로 인해 이슈가 되었다고 합니다.

 

해당 채용공고에 모집인원이 0명으로 게시되어 있자 몇몇 누리꾼들이 장난하냐며 비난을 했고, 이에 대해 단어의 뜻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간 설전이 오갔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또다시 MZ세대 문해력 논란이 불거지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용 공고에서 0명은 1~9명(한 자릿수)의 인원을 뽑는다는 의미로 해석되는데요.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비밀을 유지해야 하거나 밝히기 어려운 사항을 나타낼 때, 본래 글자의 수효만큼 숨김표(O 또는 X)를 쓴다고 합니다. 따라서 채용공에서의 0명은 한 자릿수 인원을 뽑지만 정확한 숫자를 공개하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숨김표라고 볼 수 있겠죠.

 

이에 대한 논란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 기사

 

″모집 인원 0명? 장난하나″…또 불거진 문해력 논란

인기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올라온 채용공고 문구를 놓고 문해력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오늘(16일) 유...

www.mbn.co.kr

 

 

3. 심심한 사과, 하릴없이, 존망, 금일

 

 

마지막으로 심심한 사과, 하릴없이, 존망, 금일은 모두 MZ세대의 문해력 부족과 관련하여 한 번씩은 이슈가 됐던 단어들인데요. 빠르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심심한 사과는 한자로 甚(심할 심), 深(깊을 심)을 사용하여 '매우 깊게' 사과드린다는 의미입니다. 할 일이 없어 무료하다는 뜻의 심심하다와는 전혀 다른 뜻임을 알 수 있죠.

 

두 번째, 하릴없이는 ' 달리 어떻게 할 도리가 없이'라는 의미로, 꼼짝없이나 속절없이 등과 유사한 단어입니다. '할 일 없이'의 오타가 아니라는 것이죠.

 

세 번째, 존망은 한자로 存(있을 존), 亡(망할 망)을 써서 '존속과 멸망' 또는 '생존과 사망'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비속어와 망했다를 합쳐 매우 망했다를 의미하는 단어와는 전혀 관계가 없죠.

 

네 번째, 금일은 한자로 今(이제 금), 日(날 일)을 써서 '오늘'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금요일의 준말이 아닌 것이죠.

 

 

이외에도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젊은 층에서 잘 몰라 논란이 되는 단어들은 무척이나 많은데요. 대부분이 한자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순우리말만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이미 널리 알려져서 보편화된 단어들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오늘은 여기에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